면접대비 끄적이기

자율 예상문제

hwan.txt 2023. 10. 11. 11:44

[1학년]

Q1. AI.SW 교육주간 중 이해한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의 원리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A1. 체험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인공지능의 과정인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전처리 모델학습, 모델 평가, 모델 적용에 대해 이해하고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통해 컴파일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이해하였습니다.

 

[2학년]

Q1. 사회적인 이슈들에 조사하고 그 해결방안을 고민해봤다고 하는데 어떤 해결방안을 고민해보았는지 말씀해주세요.

A1. 제가 조사했던 사회 이슈들은 묻지마 범죄’, ‘지구온난화’, ‘쓰레기문제입니다. 공통적으로 현황을 조사했었고 현재까지의 발생추이등을 분석해보며 묻지마 범죄의 경우 길거리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50%이상이라는 것에서 심야에 보다 환한 길거리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묻지마 범죄를 일으키는 가해자들이 주로 저소득층이라는 점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의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쓰레기 문제를 조사하면서 지구온난화와 연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대해서는 확실한 데이터와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향후에 해야함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3학년 때 UN 기후협약의 실효성에 대해 분석해보면서 지구온난화에 대해 회귀적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습니다.

 

Q2. 드론수학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드론의 수학적 원리와 드론 군집비행의 원리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A2. 우선 드론이 날 수 있는 이유와 각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학적, 물리적 원리를 학습했는데요. 드론은 크게 양력과 반작용력으로 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의 단면이 위로 볼록하게 생겨 공기의 흐름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흐르는 공기로 하여금 드론을 날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작용력의 경우 프로펠러가 아래쪽으로 공기를 밀어내면서 공기가 드론을 위쪽으로 밀어올림으로써 날 수 있습니다. 이제 군집비행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군집비행은 바람과 온도를 모두 통제할 수 있는 실내라면 단순히 블루투스로 연결하고 공중의 한 지점을 원점으로 두고 3차원에 대한 드론의 점배치로 활용할 수 있으나 야외에 대규모로 군집비행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바람, 갑자기 튀어나올 수 있는 장애물 등 여러 악조건이 발생할 수 있기에 제어기술에 대한 통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배웠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RTK-GPS가 있는데 우리말로 실시간 이동측위 위치정보시스템입니다. GPS는 부정확한 위치정보와 그에 따른 통신의 문제로 많이 어려웠고 이를 보완하여 RTK는 고정된 하나의 지점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물체와의 상대적인 거리와 각도를 수시로 계산해 GPS로 파악한 위치정보를 보정합니다. 이를 통해 정밀한 군집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3학년]

Q1. 해양오염 다큐멘터리를 보고 해양 오염을 극복하기 위한 본인의 아이디어를 말씀해주세요.

A1. 사실 해양오염을 극복하기 위해 친환경 그물을 만들어보고자 했습니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친환경 그물에 대한 한계점을 확인하고 보다 현실적인 방안인 그물 회수장치를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Q2. 너무 하기 싫은 나머지 머릿속에서만 끄적이고 굳이 쓰지 않겠음요

'면접대비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학년 수학 세특 예상문제  (0) 2023.10.10
2학년 수학 세특 예상문제  (0) 2023.10.09
1학년 수학 세특 예상문제  (2) 2023.10.08